우리가 유산소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
시간이 없는 분들일수록 시간이 생겼을 때 유산소운동보다 무산소 운동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무산소운동은 조금만 해도 힘이 들고, 그래서 운동 효과가 빨리 나타난다고 느끼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휴식 시의 3배 강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을 하는 사람은 지난 2008년에 비해 10%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주 2외 이상의 근력운동을 하는 사람은 2008년 20.9%에서 2012년 22.4%로 증가했는데요.
물론 근력을 늘리는 근력운동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유산소운동을 같이 해줘야 운동 효과가 더 좋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산소운동을 하지 않을 경우 심폐 기능이 정체돼 운동 효과도 절반에 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버몬트대학에서는 중년 남성 1만 4천 명을 대상으로 수십년에 걸쳐 연구를 진행했는데, 유산소 운동능력이 좋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폐암에 걸릴 확률은 55% 낮았고, 대장암에 걸릴 확률은 44%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산소운동의 효과가 증명된 결과인데, 이밖에도 유산소 운동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됩니다. 유산소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유산소 운동이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걷기, 달리기, 등산, 수영 등이 있는데요. 유산소 운동으로 심폐기능 수준을 높이고, 각종 성인병 발병률과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최소 주 3회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본인에게 맞는 유산소 운동은 어떻게 설정할까요? 대표 유산소 운동의 장단점과 연령별 유산소 운동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절염이 있는 분들은 유산소 운동을 대체적으로 포기하는 경향이 있는데, 활동을 피해서는 안 됩니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수영, 수중걷기를 추천하는데요. 수중에서 하는 운동은 관절의 고통을 줄이고 안전하게 근육을 키울 수 있는 유산소 운동입니다. 물 속의 부력이 몸을 뜨게 해 하지와 다른 간절에 주는 체중 부담이 줄어 통증을 덜 느끼면서도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유산소 운동의 효과와 방법에 대해 중점적으로 알아봤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무산소 운동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가장 좋은 운동 방법은 운동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을 병행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어떤 운동이든 처음부터 무리하면 안 됩니다. 유산소 운동이 심폐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고 해서 무리해서 강도를 늘리거나하면 오히려 심장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꾸준히 운동하시되 매일 조금씩 달리는 시간과 속도를 높여주시면 되겠습니다.
유산소 운동, 무산소 운동. 한 쪽으로 편중되지 마시고 골고루 하셔서 여러분의 건강을 꼭 지키셨으면 좋겠습니다.